선셋 스튜디오

종합소득세란?

세무지식2018. 5. 14. 23:25

5월은 종합소득세신고의 달입니다


일반사람들은 물론이고 개인사업을 하시는분도


종합소득세에대해서 자세히 아시는 분든 드물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직장을 다니는분도 추가소득이있거나


프리랜서로 일하시거나 사업소득자로 신고하여 일하시는분이나


개인사업자 분들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하는 대상자입니다


그래서 종합소득세가 무엇인지 어떤방식으로 진행하며 신고해야하는지


간략히라도 알아두어야 할 것입니다


종합 소득세란 무엇일까요?


종합소득세는 과세기간(세금을 징수하는기간 혹은 이해하기 쉽게 당해년도의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의 기간)


동안 수익적인 활동을하여 벌어들인 소득금액에 대해서 세금을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이때 과세기간이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의 기간이라고했지만


사업을 3월에 시작하였다면 1-2월에는 수익적인 활동이 없었을것입니다


이때의 과세기간은 3월부터 12월까지가 됩니다


과세기간동안 벌어들인 소득금액이라고했는데


과연 이때 소득금액은 어떻게 계산하는것일까요?


사업자가 사업을하려면


물건을 팔아서 이익을 남겨야합니다(수익금액)


이때 팔 물건의 원가가 있어야합니다(매입금액)


팔 물건의 소비가가격이 있어야합니다(매출금액)


물건을 사고파는 과정에서


매출금액-매입금액=수익금액입니다


이때 소득금액은 수익 금액이 아닙니다


물건을팔아서 수익 금액이 생기지만


수익을 내기위해서 물건을 팔러 가는 교통비가 생길것이며 물건을 팔때 직원을 둔다면 인건비도 생길것이며


밥을 먹어야되니 식비도 생길것입니다


이것을 부대비용이라고합니다


수익-부대비용=소득 금액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사업 혹은 일을 하는데있어


소득금액은 그 돈을 벌기위해서 들어가는 모든 지출을 제한 금액입니다


1차적으로 소득금액이 산출됐다면


국가에서 인정하는 소득 공제금액을빼줍니다


기본적으로 인적 공제가있는데


당사자 본인은 기본 150만원을 공제하여줍니다


이때 소득공제와 세액 공제를 혼동하는사람이 많은데 세액 공제와 소득공제는 전혀 다른것입니다


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까지 하여서 나온금액을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이라고합니다


이 과세표준에 나온 금액을 바탕으로 세율을 정하여 세금을 매깁니다


돈을 많이번사람은 세금을 많이내고 적게 번사람은 적게 내는과정이 이 과정에서 일어납니다


과세표준에서 세율을 정해서 나온 금액이 산출세액입니다


이 산출세액이 바로 종합소득세때 내야할 세금입니다


하지만 이때 또 나라에서는 세액 공제라는것을 해줍니다


기본공제 7만원부더 사업자가 1년동안 연금을 냇다던지하는 세액 공제 항목에 해당되는 활동을 하였으면


세금을 공재하여 줍니다


이때 공제할 금액을 모두 공제한 금액이 종합소득세때 내야할 세금입니다


요약하면


1년동안 매출이 일어난 금액에서


사업을하면서 일어난 모든 부대비용을 제하여줍니다


그리고 그 제하여준 금액에서 소득공제항목에 해당하는 금액을 또 빼 줍니다


이때 나온 금액이 과세 표준이며


과세 표준에 세율을 곱하여 나온금액이 산출 세액이며


산출 세엑에서 세액 공제를 해주면 납부하실 세금이 계산됩니다


한번 보고 이해하시기 어려우실수있으나


쉽게생각하면 번 돈에서 내가 일하면서 썻던 금액을 모두뺀 금액이


순수 이익인데 내가 벌어들인 이 순수 이익에대해서 세금을 매긴다


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우실것 같습니다

'세무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 정산 쉽게 이해하기  (0) 2017.11.30
부가가치세 쉽게 이해하기  (0) 2017.06.25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의 차이  (0) 2017.01.11
연말정산이란  (0) 2017.01.11

조립식 3디 프린터를 조립하고 시험출력까지 해보는 과정중에 


여러가지를 배우며 느꼇습니다


일단 소감을 말하자면


조립식 프린터를 내가 조립할수있을까?


중간에 실패하지않을까?돈만낭비하지않을까?하는 두려움이 있었습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그런걱정없이 구매해도 된다입니다


물론 조립시간이 매우 긴시간이기는 하지만 (저는 7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저는 기계 조립이나 공구다루는 스킬 이런것이 그냥 대한민국 평균남자라고 생각하는데


조립 가이드북과 유튜브를 보면서 조립하면 시간이 걸릴뿐 결과적으로 조립하는데에는 아무 어려움이없다입니다


그리고 조립을 하면서 조금만 생각하면서 조립을 한다면 3디 프린터가 어떤 원리로 작동이되는지


어떻한 순서를거쳐서 움직이며 결과적으로 어떻게 출력이 되는지를 간략하게 알수있습니다


구매를 하기전에 조립을 성공할수있을까?출력을 성공할수있을까?


하는 생각이있었지만


조립후에 출력을하고 앞선모든 걱정들이 해소되었습니다


혹시나 조립을 실패할까봐 두렵거나 중국산이라 출력이 안될까봐 고민하시는 분이있다면


과감히 구매하셔도 좋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조립과 출력을 고민하는분이라면 구매추천하지만


그전에 미리 사전에 많은것을 알아보시는것을 추천합니다


조립식에 저가형이라보니


유지보수 그리고 출력중간에 일어나는 실패에 대한 사전지식을 알아두어야합니다


저는 고가의 프린터를 사기전에 경험해보고 넘어가려고 산것이기때문에


실패와 유지보수를 배우는데에도 도움이될거같아 anet a8을 구매한것이고


바로 완성된 품질로 실패없이 바로 출력을해서 사용하려는 분이라면 


다른 브랜드의 프린터를 구매하시는것을 추천합니다

악세사리 제작과 지브러시 모델로 반지제작을 준비하면서

3d프린터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지 몇년이되었습니다

처음에 3디 프린터를 사고싶다고 생각했을때에는 가격이 부담스러웠고

비싼기계를 사서 활용을 못하고 썩히는게 아닌가라는 걱정도 해서 

섯불리 살 생각을 못했었습니다

그러는도중에 조립식 3디 프린터에 눈을 돌리게됐고

오랬동안 지켜보고 후기도 찾아보고 한결과

가성비가 나름 좋고 가격도 저렴해서 사고서 활용을 하지않거나 구매에 실패해도 

타격을 받지 않을거같은 anet a8 을 구매하게되었습니다

싸게사면 13만원정도면 산다고하는데

해외배송받고 물건 잘오나 걱정하면서 기다리고 하는것은 체질적으로 싫어하기때문에 국내 쇼핑몰에서 

구매하였습니다

바로 다음날 배송이 오더군요


필라멘트가 들어있지않을거같아서 필라멘트도 추가로 구매했습니다

조립후에 시험출력을 해봐야하는데 필라멘트가 없으면 못하니깐요



박스에 3층으로 부품들이 잘 정돈되어있었습니다


조립 설명서가 동봉되어있지만


설명서만으로는 조립이 불가능하여 유튜브를 보면서 조립하였습니다


동봉되어있는 USB에 PDF파일로 조립설명서가 있는데 그것을 보면서 조립하는게 훨씬 수월할것같음을


조립을 다하고 시험출력을 하려고 파일을 살피다 깨닫게되었습니다




일단 하부 판넬과 기둥 판넬을 조립해주었습니다


하부판넬 조립후 

상단 LCD화면을거치시키는 상부판넬을 조립해 주었습니다



하부 Y축 모터를 설치할 판넬을 조립하여주었습니다



판넬에 Y축 모터를 조립하여줍니다



Y축 모터 타이밍벨트 부분이 연결되는 반대 부위를 조립하여줍니다



Y축 모터부분과 반대부분 타이밍벨트 연결부분을 연결해주는 기둥을 설치해주었습니다



히트베드를 연결해주었습니다



z축 모터는 2부위입니다 양쪽에 z축모터 설치할 부위를 제작해주고 하부 판넬에 연결해주었습니다


z축 모터중 선이짧은 부위는 왼쪽에 설치하고 선이 긴 모터는 오른쪽에 설채하여주었습니다



익스트루더가 움직일수있는 x축 부분 기둥과  x축 모터를 설치해주었습니다.



x축 타이밍벨트를 연결해주었습니다


x축 타이밍 벨트 연결이 매우 까다로웠습니다



LCD판넬을 연결해 주었습니다



파워서플라이와 메인보드를 설치한후


메인보드에 연결할부위를 다 연결해주었습니다



메인보드에 모두 연결을 해주고 노즐과 히트베드간격을 맞춰주었습니다


그리고 파워를 켜보니 전원이 들어왔습니다


7시간정도 조립한거같은데 전원이 들어온순간 쾌감이 일어났습니다



동봉되어있던 파일중에 체스라고되어있는것을 시험출력해보았습니다


중국산이라 체스가 장기였습니다


우여곡절이많았지만


조립후에 시험출력까지 성공해서 뿌듯한마음으로 마무리할수있엇습니다